About the site
 

THE SITE
모든 대지는 고유한 조건을 지니고 있습니다.
Every site possesses unique qualities.

건축은 이러한 SITE 자체에서 시작됩니다. 물리적 공간으로 구현되는 건축은 원래 환경과 조건과 분리될 수 없습니다. 대지의 본질적인 특성은 설계 방향을 결정하는 기반이 됩니다.
Architecture begins with the SITE itself. Architecture, as it manifests in physical space, cannot exist in isolation from the origi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the SITE. These inherent characteristics form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esign direction.

BEGINNING
디자인은 다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SITE의 독특한 맥락을 발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설계 아이디어는 SITE가 지닌 고유한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내심 있고 긍정적인 고찰에서 진화됩니다.  

더사이트 건축사무소는 맥락 없는 디자인을 회피합니다.  

우리의 접근은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수용하며, 공동체와 개인 공간 사이의 영역을 아우르는 건축을 목표로 합니다. 하드웨어는 보수적으로, 소프트웨어는 진보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Design originates from uncovering the SITE's unique context, something that cannot be found elsewhere. Design ideas evolve from a patient and positive consideration of the inherent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ITE ARCHITECTS eschews designs devoid of context. Our approach embraces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iming for architecture that encompasses the realms between shared and private spaces. We strive to design hardware conservatively and software progressively.

OPERATION
디자인 도면과 실제 시공 결과 사이에는 항상 차이가 존재합니다. 아무리 훌륭한 설계라도 시공자가 구현하지 못하면 그 가치가 떨어집니다.  

우리는 세부 사항을 철저히 검토하여 중요한 정보와 지침이 현장 작업자에게 누락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문서화되고 시공 계약에 포함되며, 현장에서 확인됩니다.  

아이디어는 견고한 기반 위에 세워져야 하며, 건축물의 형태는 이러한 과정의 결과입니다.**

There is always a gap between design drawings and the actual outcome on site. No matter how well-intentioned a design may be, its value is diminished if it is not realized in the hands of the builder.

We meticulously update details and ensure that critical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are not overlooked by site workers. This information is documented, incorporated into construction contracts, and verified on site.  

Ideas must be built on a solid foundation, and the form of architecture is the outcome of this process.**

 


- 건축 + 환경설계
ARCHITECTURE + ENVIRONMENTAL DESIGN
건축설계, 친환경설계, 신축, 인테리어

- 연구 + 지역계획
RESEARCH + LOCAL PLANNING
지역활성화를 위한 마스터플랜 및 건축계획

 

prizes
 

[준공수상]
대 상_2022 / 서울, 건축산책 공모전 「오름_유연한 경계로의 초대」
대 상_2022 / 제2회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공모 공공부문
본 상_2020 / 제주건축문화대상「산노루(SANNOLU)」
입 상_2020 / 제25회 경기도 건축문화상「라임하우스(Lime haus)」


[현상설계]
입 선_2019 /
서울 강북노동자복지관 증축 및 리모델링 설계공모
가 작_2019 /
서울 중계초 체육관 및 급식실 증축공사 설계공모
최우수_2019 /
서울산업정보학교 강당 겸 체육관 증축공사 설계공모
대 상_2014
/ 국토교통부 신진건축사  ⌜대전 효평분교 리모델링 및 관광자원화⌟설계경기
가 작_2014 / 서울 강북구청  ⌜근현대사 기념도서관⌟ 설계경기
우수작_2013 / 서울 중구청  ⌜신중부⋅중부시장 아케이드 설계경기
대 상_2010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 시설물 디자인⌟ 설계경기
Third Prize Award_1997 / A.A.R.C.  ⌜Italicoamerican International Competition Restoration of Opera Theater –La Fenice-⌟, Venice, Italy
Third Prize Award_1996 / A.A.R.C.  ⌜Italicoamerican International Competition Redefinition of the waterfront -Leonardo Da Vinci‘s water channels-⌟, Milan, Italy

 

MEMBERS

_________________________

대표소장 / 건축사   전  병  헌
Design Principal       BYEONG-HEON JEON

2022 -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
                        Appinted as 'Pubic Architects of Seoul'
                        by Metropolitan Government of Seoul
2015 - 2017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
                        Appinted as 'Pubic Architects of Seoul'
                        by Metropolitan Government of Seoul
2014                국토교통부 신진건축사
2011 -                더사이트건축사사무소 
                         THE SITE ARCHITECTS
2004 - 2011      공간건축
                         SPACE GROUP

2014                 국토교통부 한옥설계 전문인력 양성과정 수료

2015 -               대한건축사협회  정회원
2007 -              한국건축가협회 정회원
2015 -               국립공원관리공단 자문위원

202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2009 - 2011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설계튜터
2011 - 2012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객원교수
2007 - 2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건축학 박사(수료)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Candidate - Architecture

컬럼비아 대학교(미국, 뉴욕)  건축학 석사(졸업)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U.S.A.
Master of Science in Advanced Architectural Design

프랫 인스티튜트(미국, 뉴욕)  건축학 학사(졸업)
Pratt Institute, New York, U.S.A.
Bachelor of Architecture

_________________________

 

소 장 전 미 숙
Design Principal MI-SOOK JEON

  
2011 - 더사이트건축사사무소
                         THE SITE ARCHITECTS

2002 - 2010     공간건축
SPACE GROUP

연세대학교 건축학 박사(수료)
Yonsei University

친환경설계연구실
BET Lab. (Building Environmental Technology)
Ph.D Candidate   

연세대학교 건축학 석사(졸업)
Yonsei University

친환경설계연구실
BET Lab. (Building Environmental Technology)
Master of Science in Architecture